[조선/고려-전기/후기] 한국사 농상수공업 정리

[조선/고려-전기/후기] 한국사 농상수공업 정리

본 게시물은 상자거북의 저작물이므로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고려 전기

고려 후기

조선 전기

조선 후기

농업

23, ·보리·콩 윤작(돌려짓기) 점차 보급

23, ·보리·콩 윤작(돌려짓기) 점차 보급

논 남부 지방 일부 이앙법(모내기법) 보급

23, ·보리·콩 윤작(돌려짓기) 일반화·확대

직파법, 농종법(이랑에 씨앗)만 가능, 가뭄이 많아 조선 정부는 저수지가 많이 축조되어있는 남부지방으로만 이앙법을 제한함, 즉 남부지방 이외에는 이모작 불가하였다.

논 이앙법(모내기법)의 전국 보급·일반화, 가을 추수 후 논에 보리를 심었다, 견종법(고랑에 씨앗).

cf. 보리는 소작농이 모두 가질 수 있어 소작농은 보리농사를 선호함

농민 스스로 저수지·보 축조

cf. 정조때 [제언절목] 저수지 축조법 소개

 

시비법(퇴비법, 녹비법)발달

휴경지 감소

but 여전히 일역전(21), 재역전(31)

시비법 발달로 휴경지 소멸,

연작 가능, 상경전 확대

 

 

소를 이용한 심경법(깊이갈이) 확대

 

 

 

충정왕때 이암이 [농상집요] 소개, 원의 화북지방 농법, ‘강시라는 지방관이 이를 간행하여 보급

약초와 과수 재배 확대

상품작물, 쌀의 수요 늘며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 담배, 채소, 인삼, 생강, 목화, 약초 재배.

 

공민왕때 문익점이 원으로부터 목화 수입, 정천익(문익점의 장인)이 재배 성공

목화재배 확대로 무명옷! 의류혁명

 

 

 

쟁기··호미 등 농기구 개량

 

 

 

지주·전호 신분적 관계,

타조법(병작반수, 정률제, 1/2)

지주·전호 경제적 관계,

도조법(지대의 정액화:1/3),

소작권·도지권 인정

상업

개경·서경·동경 등 대도시에 서적점, 약점, 주점, 다점 등 관영상점(국영점포) 설치하여 운영

 

개경에 시전 설치, 관청과 귀족이 주로 이용.

문종때(11C중엽) 경시서 설치, 시전의 상행위 감독, 물가조절

 

중앙(종로): 시전상인

경시서(시전의 불법 상행위 통제, 물가조절)평시서(세조)평식원(대한제국)

17C 시전에 금난정권(독접판매권) 부여

18C 정조가 금난정권 폐지(신해통공): 육의전(명주·종이·어물·모시·삼베)은 제외.

비정기 시장(행상)

사원의 상행위 활발,

사원 금융기구: 장생고,

사원 운영 토지의 영역표시: 장생표

지방:

15c 장시(cf. 5일 정기시장은 조선후기에 정착됨)등장

16C중엽 전국적 확대

보부상(장돌뱅이): 정부로부터 영업허가를 받아 장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관허 행상, 보따리장수+등짐장수.

18C 중엽 장시 전국 1,000여 개소 상설화, 5일장 정착(광주 송파장, 은진 강경장, 덕원 원산장, 창원 마산포장)

보부상단의 본부 임방(부상청)에 보부상의 상행위 허가권 .

 

벽란도(예성강하구 항구) 발달:

(조공)무역

-수입: 비단, 약재, 서적, 자기

-수출: , , 나전칠기, 인삼,

 

거란·여진 무역

-수입: ·모피·, 거란의 [대장경]이 의천의 [교장]에 포함됨.

-수출: 농기구, 식량, 원효의 [대승기승론소] 거란에 전해짐.

 

무역(11C중엽 문종때 시작, 정식국교는 X.)

-수입: 유황·수은

-수출: 곡식·인삼·서적

 

아라비아(대식국인)무역: 송을 거쳐 고려와도 무역 활발.

-수입: 수은·향료·산호

 

(국립여관, 육상교통로 개척)발달,

충선왕의 소금 전매제.

 

사상(자유상인)

서울:

칠패(남대문시장의 전신), 종루(종로일대), 송파, 이현(배오게, 동대문)

 

지방 대상인:

한강 경강상인(경기·충청일대 서남해안)

-운송업과 조선업 지배, 선박을 이용하여 각 지방에서 물품 구입해와 포구에서 처분하는 방식으로 전국의 포구를 하나의 유통권으로 형성.

 

의주 만상:

·청 사이의 중강개시’(유성룡 건의로 공문보내 시작, 정부 발행 서계를 가진 자가 물품을 교역하던 공식적인 대외교역시장 열림)이후 이루어지게된 사무역 시장을 후시라고 한다.

 

개성 송상: 인삼재배, 송방(전국지점)

 

동래 내상: 대일무역

 

평양 유상

수공업

관청 수공업: 기술자 공장안에 올려 물품 생산

소 수공업: ··철 등 광산물과 실·종이·먹 등 수공업 제품 외에 생강, 국가 통제 생산되어 공물로 납부됨, 생산품을 민간에 팔 수 없었다.

민간 수공업: 농촌 가내 수공업 중심

사원 수공업: 불교 타락

관영 수공업: 관청에 등록된 장인(관장)이 화약을 제조하여 납품함, 매년 일정기간 책임량을 국역의 의무로 부역하여 제조·납품, 중앙(경공장)과 지방(외공장)의 관청에 소속됨, 의류·활자·무기·문방구·그릇 생산.

관영 수공업: 18C말 정조때 공장안 폐지하여 납포장 증가, 납포장: 공장안에 등록되어있으나 장인세만 납부할 뿐 동원되지 않고 자유로운 생산활동함.

민영 수공업: 작업장 점(: 철점, 사기점), 선대제(자본이 부족한 수공업자가 상인으로부터 자금과 원료 미리 받고 생산)수공업자가 상인에 예속화됨.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