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문화사] 무덤, 건축과 탑, 자기, 음악, 국어 연구, 외국어 학습서, 지도, 지리서, 병서, 무기 제조, 역사서, 의학서, 농서, 백과사전, 법전 등 정리

[한국사 문화사] 무덤, 건축과 탑, 자기, 음악, 국어 연구, 외국어 학습서, 지도, 지리서, 병서, 무기 제조, 역사서, 의학서, 농서, 백과사전, 법전 등 정리

본 게시물은 게시자의 저작물이므로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한국사 문화사

 

1. 무덤

2. 건축&

3. 자기

4. 음악

5. 국어연구

6. 외국어 학습서

7. 지도

8. 지리서(지리지)

9. 병서

10. 무기와 병선 제조

11. 역사서

12. 의학서

13. 농서

14. 백과사전

15. 윤리서와 의례서

16. 법전(유교적 통치 규범의 성문화)

cf.“”:만세에 전할 영구적인 법령 // “()”:당시 상황에 맞추어 내리는 일시적 법령.

17. 문학

1. 무덤

2. 건축&

3. 자기

4. 음악

5. 국어연구

6. 외국어 학습서

7. 지도

8. 지리서(지리지)

9. 병서

10. 무기와 병선 제조

11. 역사서

12. 의학서

13. 농서

14. 백과사전

15. 윤리서와 의례서

16. 법전

17. 문학

 

1. 무덤

·= 적석총

BC 8C 고조선

요령일대 강상무덤

순장

고구려

만주 집안 장군총

7층의 계단식, 벽화X

만주 집안 태왕릉

벽화X

백제 한성시대

서울 석촌동 고분

계단식, 백제 건국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인 증거

··=

횡혈식 석실분(봉토분)

 

:화강암, 벽화, 모줄임천장구조

가야 후기

고령 고아동 고분

가야 유일 고분 벽화 발견

고구려 초기:

생활상

각저총

씨름도

무용총

무용도와 수렵도

고구려 후기:

추상적

강서대묘

사신도

쌍영총

(평남 용강군)

두 개의 8각 기둥, 인물 풍속도, 사신도, 기사도(서역의 영향)

국내성 오회분

달의 신, 해의 신, 사신도, 별자리 그림

백제

웅진(공주) 송산리

1호분~5호분

 

부여(사비) 능산리 고분군

1호분 동하총에 사신도O.

삼국시대 신라

어숙묘

인물도O(신라 유일의 벽화임)

통일 신라

김유신묘

규모 작음, 둘레돌에 12지 신상 조각

괘릉=원성왕릉

흥덕왕릉

성덕대왕릉

발해

정혜공주묘(문왕 대흠무 둘째)

육정산 동모산 돈화현, 벽화X, 돌사자상(힘차고 생동감) 1949출토, 모줄임 천장 구조, 한문4·6변려체 묘지석 발견

··= 적석목곽분

=나무덧널(시신+껴묻거리) + 냇돌 +

 

: 거대한 규모, 구조상 널방이 없어 벽화X, 도굴이 어려워 껴묻거리 출토됨.

삼국시대 신라:

자형 금관 출토됨

천마총

말꾸미개 장식의 천마도

황남대총

쌍분형태(북분과 남분), 왕과 왕비를 따로 묻음

서봉총

1926 스웨덴 황태자 발굴

금관총

 

금령총

 

호우총

 

전축분=벽돌무덤

백제 공주 송산리

6호분

사신도와 일월도 벽화O.

7호분 무령왕릉

벽화X, 연꽃 등 화려한 무늬 벽돌, 남조 영향, 관의 재료는 일본산 금송, 석수(돌짐승), 무령왕릉지석(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 매지권(도교의 영향)

발해

정효공주묘(문왕 대흠무 넷째)

용두산 중경현덕부 화룡현, 평행고임구조(고구려)+ 벽돌(당 영향) + 봉토 위 벽돌탑(발해 고유), 1980출토, 한문4·6변려체 묘지석 발견(불로장생 표현)

 

 

 

 

 

 

 

삼국

고구려

평양성=장안성

안학궁: 평지성, 가장 규모가 큰 궁궐 건축물, 장수왕이 427 평양천도 후에 세움.

대성산성(배후산성)

백제

미륵사

7C무왕때 건립, 미륵사지 석탑만 남음

익산 미륵사지 석탑

7C무왕때 건립, 현존 最古 석탑, 미륵사의 동·서탑 중 서탑,

목탑 양식, 사택적덕(무왕 왕후)의 딸이 미륵사를 건립했다는 사리봉안기 출토

부여 정림사지5층 석탑

목탑양식, 소정방의 백제 평정 사실 기록(=평제탑)

신라

황룡사

6C진흥왕때 건립, 호국불교 반영

황룡사9층목탑

7C선덕여왕때 건립, 몽골 3차 침입때 소실

분황사9층모전석탑

선덕여왕때 건립, 석재를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쌓음,

인왕상 조각, 3층까지만 남음

·

신라중대

불국사

(경덕왕때 김대성 건의)

정문 돌계단(청운교·백운교)은 직선과 곡선의 조화

불국사 3층 석탑

=석가탑(경덕왕)

무구정광대다라니경(세계最古목판인쇄본) 나옴, 간소하고 날씬, 통신 석탑의 전형

불국사 다보탑

복잡·화려

석굴암

(경덕왕때 김대성 건의)

인공 석굴 사원, 네모난 전실과 둥근 주실, 세계문화유산

안압지=월지(문무왕)

인공 연못, 귀족 생활 화려

감은사지 3층 석탑

(신문왕)

 

원원사지 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전남 구례

신라하대

전남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목조양식, 선종 영향 팔각원당형(기본형),

고려시대에 여주 고달사지 승탑(=원종대사혜진탑)으로 계승됨.

염거화상탑

선종 영향 팔각원당형(기본형),

고려시대에 여주 고달사지 승탑(=원종대사혜진탑)으로 계승됨.

강원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 탑

승탑=부도의 효시, 탑신부만 팔각원당형(특수형),

고려시대에 원주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평면사각형=보궁형)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원구형)으로 계승됨.

강원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탑신과 기단에 부조로 불상 조각, 이중기단

발해

상경성

당 영향: 장안성 모방(내성과 외성), 주작대로

고구려 영향: 상경 궁궐 내 온돌 장치, 상경성 절터의 흥륭사 발해석등

영광탑

중국 압록강 길림성 장백현, 5층 벽돌탑, 당 영향

고려

전기

개성 만월대 궁궐터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고구려 영향

개성 현화사 7층 석탑

신라 영향

부여 무량사 5층 석탑

 

오대산(평창)

월정사 89층 석탑

고구려 양식 + 송 제작 기법·양식

여주 고달사지 승탑

=원종대사 혜진 승탑

통신 선종 영향 팔각원당형(기본형) 계승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 현묘 승탑

통신 특수형태 계승, 보궁형=평면 사각형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 승탑

통신 특수형태 계승, 원구형

후기

안동 봉정사 극락전

맞배, 주심포, 1363 공민왕때 건물 지붕을 중수, 우리나라 현존 最古 목조 건축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팔작, 주심포

예산 수덕사 대웅전

맞배, 주심포

안변 석왕사 응진전

팔작, 다포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 응진전

맞배, 다포

심원사 보광전

팔작, 다포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 영향, 대리석,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음, 조선 세조때 탑골공원 원각사지 10층에 영향

보현사 813층 석탑

 

조선

15C

경복궁

1395 태조때 창건, 임진왜란때 소실, 1867 고종때 중건됨

창덕궁

1405 태종때 이궁으로 경복궁의 동쪽에 지어짐, 정조는 창덕궁 주합루 아래층에 규장각 서고를 둠.

창경궁 명정전

성종때 창건, 광해군이 17C에 다시지음, 일제때 창경원으로 바뀌어 훼손

개성 남대문

 

창덕궁 돈화문

 

평양 보통문

 

숭례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과학기술 집약, 세계 문화유산

강진 무위사 극락전

1476 성종때 건립

16C

서원

가람 배치 양식과 주택양식 결합

17C

금산사 미륵전

규모 큰 다층 건물, 내부가 하나로 통함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통신때 건립, 임진왜란때 소실된 후 다시 지어짐

경희궁

광해군때

 

 

18C

논산 쌍계사

부농과 상인의 지원, 장식성 강한 사원 건립

안성 석남사

부안 개암사

수원 화성

정조 종합 도시 계획

19C

경복궁 근정전

화려·장중

경회루

2. 건축&

 

3. 자기

통신

당의 영향 받음(수입)

고려:

강진,부안, 강화도

10C

송의 영향 받음 + 신라·발해의 기술

11C

순수 청자

비취색, 인종1[고려도경] 극찬

 

12~13C

상감청자

화려

14C 원간섭기

퇴보

조선:

광주, 고령

15C

분청사기

대중화X, 어문병, 조화, 편병

 

16C

백자

고려 계승 + 명나라백자영향

17C

철화백자,

진사백자,

청화백자

+ 옹기

민간

19C

백자 + 옹기

달항아리

4. 음악

고려말

아악

송 대성악 발전궁중음악, 주로 제례

향악(속악)

고유 + , 주로 연회, 민중 속요와 어울려, [동동], [한림별곡], [대동강], [정읍사], [오관산]

15C

아악 발전궁중음악

세종

박연이 장악원에서 악기 제작

세종이 직접 여민락(악곡), 정간보(소리 장단&높낮이 표현)제작

성종

성현 [악학궤범]

16C

속악(당악 + 향악, 민간음악) 발달

17-18C

양반

가곡(세계무형유산), 시조

서민

민요

광대·기생

판소리(세계무형유산), 산조, 잡가

5. 국어연구

 

 

 

 

세종 1418-1450

1446

[훈민정음(해례본)]

간송(:전형필의 호) 미술관 소장.

cf. 세종은 정음청을 두어 한글서적을 편찬하였다.

1. 용비어천가(한글간행, 악장) : 왕실의 조상의 덕을 찬양

2. 월인천강지곡(한글간행, 악장) : 부처의 덕을 기림

3. 석보상절(한글번역편찬) : 수양대군이 소현왕후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씀, 부처의 일대기(불경)

4. 농사직설(한글번역편찬)

5. 삼강행실도 언해본(한글번역편찬) : 윤리서

중종 1506-1544

조광조

언문청 설치

한글보급

1527 최세진

[훈몽자회]

한자 학습서, 한글로 한자의 음과 뜻 표기, ‘기역’, ‘니은등의 명칭 유래(but 동일하지는 X).

선조 1567-1608

1589 권문해

[대동운부군옥]

어휘 수집 연구 정리

영조1724-1776

1750 신경준

[훈민정음운해]

국어 음운 연구서, 훈민정음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설명

정조 1776-1800

1789 이의봉

[고금석림]

우리 방언 어휘 및 외국어 연구, 1500권의 문헌 참고

1789 이성지

[재물보]

어휘 수집

순조1800-1834

1819 정약용

[아언각비]

속어 고증, 당시 잘못 사용되고 있는 단어 용례 등을 모음.

1824 유희

[언문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훈민정음이 우수한 표음문자임을 밝힘

1881

프랑스

리델신부

[한불문전]

최초 한글 문법서

1895 유길준

[서유견문]

최초 국한문 혼용체, 저술은 1889

1897 이봉운

[국문정리]

최초 한글·국어연구서

1907

국문연구소

지석영

1905 [신정국문]

주시경

1910 [국어문법], 1911 [말모이], 1914 [말의 소리]

1909 유길준

[조선문전], [대한문전]

1921

조선어 연구회

1926 가갸날 제정, 1927 잡지[한글] 창간

1931

조선어 학회

잡지[한글] 간행, 1933 [한글맞춤법통일안]제정, 표준어 제정,

[우리말큰사전]편찬 시도만!!하고 끝남

1942

조선어학회사건

조선어학회 강제 해산됨, 이윤재, 최현배, 한징이 희생됨

6. 외국어 학습서

첩해신어

1618(광해군10)

강우성

사역원 역관 강우성이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잡혀 갔다가 돌아와 일본어를 가르치며 일본어 학습서 집필.

노걸대언해

1670(현종11) 정상국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 [노걸대]에 한글로 중국어 독음을 달고 언해한 서적으로 22책의 분량의 활자본, 앞서 중종대에 지어진 최세진의 [번역노걸대]를 참고

박통사언해

1677(숙종) 변섬, 박세화

중국어 학습서, [박통사]의 원문에 한글로 중국어의 독음을 달고 언해함.

규정전운

1796(정조20)

이덕무, 윤행임, 서영보, 이가환, 박제가 등

규장각에서 만들어진 한자 옥편

전운옥편

정조때

[강희자전]을 본떠서 만든 한자(漢字) 자전, 현존X

봉역도

고구려 7c 영류왕

고구려의 강역을 알 수 있을 자료이나 현존x.

오천축국도

고려, 윤보

인도와 서역 제국을 중심으로 한 불교계 세계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서운관 학자들,

태조 이성계

세계 2번째로 만들어진 全天 천문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역대제왕혼일강리도

이회, 이무, 김사형,

1402 태종의 명으로

현존 동양 最古(원본은 x, 일본에 모사본 있음), 한반도 실제보다 크게 그림, “원나라 세계지도인 [혼일강리도], [성교광피도] + 한반도지도 + 일본지도”.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은 O. 아메리카대륙은 X,

권근이 발문을 썼다.

팔도도=팔도지도

이회, 1402 태종

최초 전국지도, 현존X

정척, 15c 세종

새로 편입된 북방 영토 실측, 하천과 산맥표시, 현존X.

양성지, 1453 단종

과학기구 이용 정밀 제작 전국지도

동국지도

정척, 양성지,

1463 세조

최초의 실측지도(규형: ‘거리원근측량인지의:‘높낮이제작하여 사용), 압록강 이북까지 상세 기록(북방지역에 대한 관심)

조선방역지도

이이 등 12,

16c 명종

전국 8도의 주현, 병영, 수영 표현, 만주와 대마도까지 우리의 방역으로 표현, 국사편찬위원회가 원본 소장.

천하도

16c

중국 중심 존화주의 세계관 표현 관념적 지도.

곤여만국전도

이탈리아 선교사 마테오리치(북경),

1708 숙종

서양식 세계지도, 1603 선조때 명에 다녀온 사신 이광정이 국내 반입, 1708 숙종 모사,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소개됨.

동국지도

정상기, 18c 영조

최초 백리척 축척 지도(100리를 1(), 10리를 1()으로 표시)

해동지도

관찬, 1750 영조

채색필사본(회화식) 8책 구성, “조선팔도도별지도 전국군현지도+ 천하도 +중국십삼성도 + 유구도+ 왜국도 + 요계관방도

청구도

김정호,

1834(순조 34)

동국지도 바탕으로 제작, 서양의 기하학원리 이용

대동여지도

김정호, 1861 철종

실제 답사를 통한 실측지도, 22 분첩, 목판인쇄(대량인쇄와 보급 가능), 관찬X, 백리척사용, 산맥, 하천, 포구, 도로망 표시, 거리를 알 수 있도록 10리마다 눈금 표시, 범례(지도표) 고안.

대동여지전도

1864 고종

대동여지도를 축쇄하여 보급.

대한전도

대한제국 1899

한국 최초의 현대식 지도, 경위선 좌표 그려져 있음.

7. 지도

8. 지리서(지리지)

세종 1418-1450

1432 변계량, 맹사성

신찬팔도지리지

각 도별(8) 지리지 제작한 후 종합한 조선시대 최초 지리지.

단종 1452-1455

1454 정인지

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의 부록으로 삽입, 단군신화 수록, 독도 수록(“우산(독도)과 무릉(울릉도) 두 섬이 강원 울진현 동쪽에 있다.”)

성종 1457-1494

세조~1478성종,

양성지

팔도지리지

각 지역 봉화, 역참, 광산, 도서, 수로

1481 노사신, 강희맹, 서거정

동국여지승람

군현의 연혁, 지세, 인물, 풍속, 산물, 교통, 성씨, 고적 등 자세히 수록한 관찬 지리 백과사전

중종 1506-1544

1530

이행, 홍언필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 증보판(정치, 경제, 역사, 행정, 군사, 민속, 예술, 인물 등 다룬 종합적 지리지), 독도표시(최초로 울릉도와 독도가 표기된 지도인 [팔도총도] 수록.

광해군1608-1623

1615 한백겸

동국지리지

고구려의 발상지가 평안도 성천이 아니라 만주지방임을 최초 고증한 역사지리지, 우리 역사지리를 치밀하게 고증

인조 1623-1649

1631(인조 9)

이탈리아 선교사 알레니

직방외기

명 말기 한문으로 저술한 세계 지리지, 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정두원이 가져옴.

효종 1649-1659

1656(효종 7)

유형원

동국여지지

각 지역의 특산물, 지형 등을 조사하여 국가 재정 수취의 보조자료로 이용

영조1724-1776

1751 이중환

택리지

각 지방 자연환경, 풍속, 인물 자세히 논한 사찬 인문지리지, 실용적 입장에서 기록(백과사전식 서술X), 팔도총론(조선 8도의 인심 기록), 복거총론(可居地조건 : 지리(풍수적 길지), 생리(경제조건), 산수(주변경치), 인심(좋은 이웃))

신경준

산경표

조선의 산맥 체계를 도표로 정리

1765(영조33)

여지도서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성책한 전국 지리지

순조1800-1834

1811 정약용

아방강역고

문헌 중심으로 우리나라 강역을 고증한 역사 지리지.

백제의 첫 도읍지가 한성(지금의 서울)임을 주장,

발해의 중심지가 백두산 동쪽임을 최초 고증.

1903 장지연이 책명을 [대한강역고]로 바꿔 간행

고종1863-1907

1866 김정호

대동지지

단군과 발해를 포함한 우리 역사와 관련된 지리 정보 기술(역사지리지)

9. 병서

태조 1392-1398

진도=진법()

정도전

요동 정벌 위해 독특한 전술과 부대 편성 방법 제시(명나라 표전문 사건)

세종 1418-1450

총통등록

1448 집현전

화약무기의 제작과 사용법 정리

문종 1450-1452

동국병감

김종서

고조선~고려말까지 중국과의 전쟁사 정리

단종 1452-1455

병장도설

수양대군[진법]편찬,

cf.영조 1742 [병장도설]로 명칭 바꾸어 복간

그림으로 표현한 군사 훈련 지침서

역대병요

이석형, 정인지, 세종

cf. 간행은 1450 , 세조때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전쟁에 대한 평가 기록한 병서

영조1724-1776

속병장도설

1749 조관빈, 박문수

 

[병장도설]의 체제를 본 따 중앙군의 진법, 편성 등을 설명

정조 1776-1800

무예도보통지

박제가, 이덕무

 

10. 무기와 병선 제조

거북선

태종

최초

수군의 전투력 크게 향상시킴

비거도선

태종

쾌속정

화포

최해산(최무선의 아들, 태종 때에 특채되어 화약 무기의 제조 담당, 큰 활약함), 세종

사정 거리가 최대 1,000보에 이름.

신기전 (발사체)

최해산, 세종1448(문종)

바퀴 달린 화차로 화살 100개를 잇따라 발사 가능.

11. 역사서

고려초 유교적 사관 : 모두 현존X

[고려왕조실록]

거란 침입때 소실, 편년체

[7대실록]

황주량, 현종때 편찬시작~ 덕종때 1034 완성

태조~ 목종의 기록, 소실된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편년체, 임진왜란 때 소실

[편년통재]

김부식

편년체,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소개

[속편년통재]

홍관, 예종때

편년체

고려 중기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신화/전설/민담 X)

[고금록]

(古今錄)

박인량(한림학사로서 외교문서 전담), 숙종때

편년체, 10, 정통의식과 대의명분 강조, 현존X, 태조 이래 역대 실록 참고하여 고려와 요나라 역사 기록.

[삼국사기]

김부식, 인종때 1145

현존 最古역사서, 삼국시대만O(, , , 통신),

기전체(본기28, 연표3, 9, 열전10), 50.

[편년통록]

김관의, 의종때

태조 왕건의 6대조 찬양, 현존X.

 

로 쓴거:

이규보[동명왕편]

이승휴[제왕운기]

 

 

고려 후기 민족적 자주사관

 

 

 

 

(cf.1193 김사미 효심의 난)

 

무신정권시

 

고구려계승, 민족적 자주

[동명왕편]

이규보,

1193명종때

이규보[동국이상국집] 에 수록, 고구려 계승, 영웅서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의 나라라는 사실을 천하에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해동고승전]

각훈

(오관산 영통사 주지),

1215고종때

교종 입장(어차피 삼국시대 승려는 100% 교종임)에서 과 대등하게 불교사 정리, 2권 현존,

석보(釋譜)와 불교의 동방 전래 기록, 삼국시대 승려 35(18, 17)의 일대기만 현재 전함.

원간섭기

(충렬왕)

 

고조선계승, 민족적 자주

[삼국유사]

일연, 1281

기사본말체, 단군신화 최초기록(가장 단군신화가 기이편에 있음) 민간설화O, [가락국기]일부 수록, 왕력-기이-흥법-탑상-의해-신주-감통-피온-효선, 야사체, 고승전체제, 향가 14수 수록.

무릇 옛날 성인들이 바야흐로 으로 나라를 일으키고 로 교화를 펼치고자 할 때면, ~그러하지만 제왕이 일어날 때는~ 즉 삼국의 시조가 모두 다 신비스럽고 기이한 데에서 나온 것을 어찌 괴이하다 하겠는가? -기이편 서문, 불교적 신이사관-

[제왕운기]

이승휴

우리역사(하권, 5)를 중국역사(상권, 7,)와 대등하게 서술, 단군신화O, 우리 역사로 발해사 최초기록O, 예맥, 부여, 삼한, 옥저 등이 단군의 후손이라 서술, “요하의 동쪽에 별천지가 있으니 중국과 확연히 다르도다. 중국인들이 우리더러 소중화라 하네.”

[고금록]

(古今錄)

허공,한강, 원부,이인복 등의 사관

체제와 서술에 있어 숙종 원년 7월 이전에 완성된 사서 박인량의고금록10권의 영향을 받음.

고려말 성리학적 유교사관

[본조편년강목]

충숙왕, 1319 민지

정통의식과 대의명분 강조, 고려왕조 기록.

[사략]

이제현, 공민왕때

사론만 현존, 개혁 단행을 통한 왕권중심 국가질서 회복의지 반영됨.

조선초(15c전반, 건국초기) 성리학적 유교사관

[고려국사]

정도전

cf. 정도전의 [삼봉집] : 재상중심, “임금의 자질에는 어리석음과 현명함이 있고 강함과 유약함의 차이가 있으니 옳은 일은 아뢰고 옳지 않은 일은 막아서 임금으로 하여금 大中의 경지에 들도록 해야함

편년체, 재상중심, 조선왕조 개창의 정당화 목적, [고려사]의 모델.

[동국사략(東國史略)]

=[삼국사략]

권근, 하륜, 태종때

왕명을 받아 편찬.

[조선왕조실록]

왕이 죽으면 다음 왕때 춘추관의 실록청(임시)에서 편찬, 3년마다 부패방지 위해 포쇄.

태조~철종의 총 25명 기록, 편년체

cf. 수정왕조실록

-선조수정실록(인조반정 후 수정)

-현종개수실록(숙종때 경신환국 후 수정)

-숙종실록보궐정오(영조4년 소론 주도 하에 수정)

-경종 수정실록(정조때 영조실록을 편찬하며 수정)

 

자주=중국사와 대등=우리 고유(너희에겐 다른 시조 누군가가 있겠지만 우리에겐 단군이 있다!)

 

15c 자주적 사관 (훈구파)

 

 

 

 

[고려사]

 

김종서, 정인지, 세종의 명으로 문종1451

 

군주중심, 기전체, 본래 본기에 해당하는 고려 왕의 사적을 세가로 적음, (고려 말은 전통성이 아주 없어야 조선건국의 정당성up되니) 우왕(신우)과 창왕(신창)을 신돈의 자식들인 僞 朝(위조, 가짜조선)라며 세가에 넣지 않고 열전에 넣음, 명분론 반영해 본기'X, “폐가입진(이성계)”,

고려 역사 자주적 정리한 면도 있음(‘, 태자, 태후칭호)

[고려사절요]

김종서, 정인지,

세종 죽고 문종1452

재상중심, 편년체

[삼국사절요]

서거정, 노사신, 이파

세조~성종때

편년체, 단군조선~고려말까지O.

[(신편)동국통감]

서거정, 세조~ 성종.

최초의 편년체 통사(편년체인 중국의 [자치통감]을 모델로 함), 왕명으로 훈구파가 쓰고 사림파가 수정, 단군조선~고려말까지 O, 외기(단군조선, 삼한)-삼국기-신라기(통신)-고려기.

16c 사림파 존화주의 사관

(명분론,기자중시)

[동국사략(東國史略)]

박상

편년체, [동국통감]비판, 온건신진사대부(사림파)칭송, 훈구파(개국공신)비판.

[동몽선습]

박세무, 중종때

 

[동사찬요]

오운(북인), 선조때

기전체, 신라중심+고려역사, 의병, 장군 등 절의지킨 인물 찬양.

[기자지]

윤두수, 이이, 선조때

 

[기자실기]

이이, 선조때 1580

 

17c 서인집권기=현종때(1659 기해예송~ 1674 갑인예송)

[여사제강]

유계(서인), 1667

강목체 형식 편년체, 송시열이 서문 작성, 노론 추앙, 북벌 주장(북벌 참 좋아함, 집권여당이 서인이라)

[동사(東事)]

허목(남인)

기전체, 북벌비판, 우리 중심 역사, ‘단군, 기자, 신라를 중국 ,,시대에 비유하여 독자성 강조.

cf. 허목의 문집 [기언(記言)]

[동국통감제],

[휘찬여사]

홍여하(영남 남인:

왕권강화 강조)

강목체 형식 기전체, 붕당도 비판, 당시의 북벌도 비판, ‘기자-마한-신라의 정통성, “조선(기자와 마한)-삼국-신라3시기로 나눔.

17c 말 숙종때

(1674~1720)

[동국역대총목]

홍만종(소론), 1705

편년체, ‘단군조선-기자조선-마한-통일신라’, 삼국시대는 정통성이 없는 시대로 간주.

[동사회]

임상덕(소론)

고려말까지의 사실을 기록했으나 공민왕 이후의 것은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고 삭제하는 등 실증적 인식태도를 보임, 삼국(통일신라 이후 시대만 정통성 인정 &고려사 기록), 발해사 언급X.

우리”3총사

:허목이익안정복

 

 

 

18c 문헌 고증(data)으로 심화된 역사서술

 

 

 

 

[성호사설]

이익

실증적이며 비판적 역사서술, 민족에 대한 주체적 자각 높이는데 이바지함.

동국은 스스로 동국”, 시세, 행운, 불행 중시(도덕중심사관 비판)

[동사강목]

 

안정복, 1778 정조때

cf.안정복은 고증사학의 토대 마련함.

강목체 형식 편년체, 발해를 말갈의 역사로 기술, 명분과 정통성 중시하나 중국중심 역사의식 탈피하고자 함, 우리 자료만 참고, 단군조선-기자조선-마한(삼한)-통신-고려.

고구려의 강대하고 현저함은 백제에 비할 바가 아니며, 신라가 차지한 땅은 남쪽의 일부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므로 김씨(김부식)은 신라사에 쓰여진 고구려 땅을 근거로 했을 뿐이다.”,삼국사에서 신라를 으뜸으로 한 것은 신라가 가장 먼저 건국했고 뒤에 고구려와 백제를 통합하였으며 또 고려는 신라를 계승하였으므로 편찬한 것이 모두 신라의 남은 문적을 근거로 했기 때문일 뿐이다.”

cf. 안정복은 1785[천학문답을 저술해 성리학 입장에서 천주교가 사교인 이유를 논리적으로 서술하였다.

[열조통기]

안정복

태조~영조 조선왕조 역사 왕별로 편찬

[발해고]

유득공(서얼, 정조때 규장각 검서관)

최초로 남북국 시대표현, 발해를 최초로 우리역사로 봄, 반도사관 탈피, 九考: 군고()-신고(신하)-지리고(51562)-물산고(솔빈부 말)-국서고(문왕의 고려국왕외교문서)

[동사(東史)]

이종휘

발해는 고구려 계승한 나라(단군-부여-고구려의 흐름에 중점), 고조선~고려말, 기전체, 단군을 최초로 본기에 기록, 단군-기자-마한(삼한)-고구려

[해동역사]

한치윤

기전체, 85(No 열전), 동이 문화에 뿌리, 500여종 외국자료 참고, 가야사 연구자료, 고조선~고려말까지.

[연려실기술]

이긍익(소론, 양명학자)

유일한 기사본말체(백과사전식 서술), 야사총서(400여종 참고), 조선의 정치, 문화를 실증적, 객관적으로 정리.

[금석과안록]

김정희(금석문 1인자, 박제가의 제자)

북한산비, 황초령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

1906

[동국사략]

현채

전통 편년체적 역사 인식 탈피, 근대적 역사 서술방법

 

 

 

 

12. 의학서

고려 고종

1236 최우때

대장도감에서

향약구급

最古 의학서적, 각종질병처방과 약재 소개

고려

 

삼화자향약방

고려의 독자적, 조선초기 의서에 영향

태조 1392-1398

 

향약집성방

본초학 효시, 현존x.

세종 1418-1450

1431 유호통, 노중례, 박윤덕

향약채취월령

약용식물정리, 한글

1433 유호통, 노중례, 박윤덕

향약집성

우리 풍토에 알맞은 약재(향약)와 치료방법(한방) 정리, 자주적 의서, 민족 의학

1438 최치운

신주무원록

원나라 왕여가 쓴 1308 ‘무원록을 참고하여 편찬한 법의학서

1445 김예몽, 유성원, 김수온, 김유지

의방유취

동양 최대의학 백과사전,

1477성종때 한계희·임원준 등이 간행하여 내의원·전의감·혜민서·활인서 등 관계 관아에 배포.

 

태산요록

산부인과 의서

중종 1506-1544

1525

김순몽, 박세거

간이벽온방

평안도에서 전염병 유행하자 왕명으로 편찬, 전염병(온역) 치료약방문 모음, 현존X.

선조 1567-1608

1578

김순몽, 박세거

간이벽온방

금속활자(을해자)로 인쇄

광해군1608-1623

1610 허준

동의보감

유네스코 지정 세계 기록유산(2009 등재), 의학이론과 임상의 일치에 주력, 관념적 한의학의 단점 극복, 동양의학의 정수, 의료지식의 민간 보급 기여, 수련도교의 영향 받음, 우리나라 뿐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도 간행.

1612

김순몽, 박세거

간이벽온방

언해본(한글자료), 보물, 1612 관북지방에서 전염병(온역)이 발생하자 훈련도감자(목활자)로 인쇄·간행·배포

1613 허준

신찬벽온방

1612 관북지방에서 전염병(온역)이 발생하자 왕명으로 편찬.

벽역신방

1613 전염병(당독역) 전파되어 많은 사상자가 나타나자 왕명으로 간행.

인조 1623-1649

1644 허임

침구경험방

침구술 집대성

효종 1649-1659

1653 안경창

벽온신방

전염병(온역) 치료

정조 1776-1800

1798 정약용

마과회통

홍역(마진)에 대한 연구, 종두법 연구.

부록[종두방서]으로 영국인 제너의 우두 접종법 소개.

고종1863-1907

1884

황도현, 황필수

방약합편

한글로 약재 소개

1894 이제마

동의수세보원

사상의학(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체질의학확립

13. 농서

고려후기

농상집요

이암이 소개

원의 농서

태종

1400-

1418

농서집요

 

중국의 농서인 [농상집요]에서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이두로 번역한 책, 당시 농사에 참고하기에는 내용이 부족.

세종 1418-1450

농사직설

정초, 변희문

우리나라 최초 편찬/현존 最古 농서, 씨앗 저장법, 모내기법 소개한 자주적 농서(농민의 실제 경험 바탕, 중국의 농업기술을 수용하면서 우리의 풍토,현실, , 기후에 맞는 독자적 농법 정리), 세종의 민본주의, 한자로 편찬하여 지방 권농관의 지침서로 삼았다, 관찬.

세조 1455-1468

화소록

강희

최초의 원예 농서(원저 : ‘청천양화소록’)

성종 1457-1494

양잡록

강희

경기도 시흥(금양)지방 중심 농사법 정리, 사찬.

명종 1545-1567

구황촬요

cf.명종은 조선후기X

흉년 구제법, 구황 방법 제시(잡곡, 도토리, 나무껍질 가공법)

효종 1649-1659

농가집성

신속

=우리 농서(농사직설+금양잡록+구황촬요)집대성 + 중국 농서 사시찬요를 요약한 사시찬요초’(중국 강남농법을 받아들였다는 기록).

이앙법(수전농법)견종법 등 새로운 농법 소개&보급, 농업 생산력 증대에 기여, 조선후기 농서의

숙종 1674-1720,17c

색경

박세당

상권(토질에 따른 재배 품종 소개) + 하권(양잠법 소개), 17c 농업실태 파악 가능, 채소, 과수, 화초, 과일 등 재배법 서술

산림경제

홍만선

농촌생활백과사전, 농림축잠업 망라, 전염병과 해충 방제법 소개

정조 1776-1800

해동농서

서호수

중국 농서 참조하여 강남과 화북의 농법을 모두 종합. 우리 농업에 중국 농학 접목

과농소초

박지원

초기 농서들 비판, 상업적 경영주장, 한전론

 

헌종 1834-1849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십육지

서유구(서호수 아들)

농촌생활백과사전, 농업경영론 제시, 둔전론 기반 : 지주제 인정(한정된 지역에 국둔과 민둔), 정전제를 이상으로 삼으면서도 세도정치 현실상 불가하다 여겨 주장하지는 않았다, 견종법(畎種法, 조선후기 밭농사에 보급되기 시작, 다음 해 청명과 곡우 사이에 작은 보습으로 이 이랑에다 고랑을 내는데, 너비 1, 깊이 1척이다. 이렇게 한 이랑, 1묘마다 고랑 3개와 두둑 3개를 만들면, 두둑의 높이와 너비는 고랑의 깊이와 너비와 같아진다. 그 뒤 고랑에 거름재를 두껍게 펴고, 구멍 뚫린 박에 조를 담고서 파종한다. 이와 같이 2~3차례 하면 고랑은 도리어 두둑이 되고, 두둑은 도리어 고랑이 된다. 뿌리는 흙 속 깊이 묻히게 되므로 가물어도 습기가 보존되며 줄기는 두터운 북 가운데에 서게 되므로 센 바람에도 다치지 않는다.”)실시

순조1800-1834

자산어보

1815 정약전

1801 신유박해 때 흑산도로 유배 가서 흑산도 근처 어종의 생태를 연구한 한국 最古 어류학서

cf. 당시 김 양식 기술 개발, 냉동선 등장

14. 백과사전

광해군1608-1623

1614 이수광

지봉유설

우리나라 최초 백과사전, 중국에 사신으로 여러차례 왕래한 견문 토대로 중국, 일본, 동남아, 유럽 등의 내용까지 (서구문명 최초)소개, [천주실의](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리치가 지은 한역서학서, 천주교 유포에 기여), [곤여만국전도](마테오리치가 그린 서구 중심 과학적 정밀 세계지도, 최초 전래는 이광정), 한반도에 있다고 여겼던 고대의 여러 지명이 사실은 만주에 있었다는 것 새로이 고증.

영조1724-1776

이익

성호사설

천지, 만물, 경사,인사, 시문 5개 부분으로 서술, 우리나라와 중국 문화에 대해 백과사전식 소개

1770 홍봉한(노론의 영수이자 사도세자의 장인임. 사도세자 뒤주에 갇혔을 때 7일간 출근 안함)

동국문헌비고

영조의 명으로 우리나라 정치, 경제, 문화 등을 정리한 한국학 백과사전

정조 1776-1800

이덕무

청장관전서

시문형태의 백과사전, 중국 역사.풍속.제도 등 기록

홍봉한 등이 증보

cf.1908순종때 간행

(증보)문헌비고

우리나라 역대(상고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의 문물 연대순 정리.

수입

고금도서집성

청에서 만든 백과사전

순조1800-1834

서유구

임원경제지

농촌생활백과사전, 농업경영론 제시, 둔전론 기반 : 지주제 인정(한정된 지역에 국둔과 민둔), 정전제를 이상으로 삼으면서도 세도정치 현실상 불가하다 여겨 주장하지는 않았다, 견종법(畎種法, 조선후기 밭농사에 보급되기 시작, 다음 해 청명과 곡우 사이에 작은 보습으로 이 이랑에다 고랑을 내는데, 너비 1, 깊이 1척이다. 이렇게 한 이랑, 1묘마다 고랑 3개와 두둑 3개를 만들면, 두둑의 높이와 너비는 고랑의 깊이와 너비와 같아진다. 그 뒤 고랑에 거름재를 두껍게 펴고, 구멍 뚫린 박에 조를 담고서 파종한다. 이와 같이 2~3차례 하면 고랑은 도리어 두둑이 되고, 두둑은 도리어 고랑이 된다. 뿌리는 흙 속 깊이 묻히게 되므로 가물어도 습기가 보존되며 줄기는 두터운 북 가운데에 서게 되므로 센 바람에도 다치지 않는다.”)실시

1808 서영보, 심상규

만기요람

국왕이 정무를 보는데 도움이 되는 재정과 군정에 관한 자료를 모아 놓은 책.

헌종 1834-1849

1839 혜강 최한기(김정호와 같이 이규경의 제자임)

명남루총서

최한기의 저작 모아놓은 기철학, 경험철학 사상관련 백과사전.

뉴턴의 만유인력설 소개.

cf. 최한기는 [지구전요](지전설 주장), [기측체의](서양의 근대적 물리학 최초 소개, 신기통, 구통, 족통 등으로 구분)

이규경(이덕무 손자)

오주연문장전산고

(=동국문헌비고+청장관전서 통합), 조선, 중국, 일본 등 외국의 고금의 사물, 1,417항을 고증적 방법으로 설명

15. 윤리서와 의례서

세종 1418-1450

설순 1428

효행록

고려 충목왕때의 효자 권보와 그의 아들 준에 관한 기록 모아 엮음

설순 1434

삼강행실도

충신, 효자, 열녀 등 행적을 그림으로+설명 붙인 윤리서. 이후 언해본(한글번역본)이 출간됨.

세조 1455-1468

세종때 시작(권재, 정인지) ~세조때 완성(권람, 신숙주)

국조보감

편년체, 역대 왕의 치적 중 모범(귀감)될 만한 것 기록.

1464 양성지

오륜록

국민 윤리 교과서

성종 1457-1494

1471(성종 2) 신숙주

해동제국기

일본의 지세(地勢)와 국정(國情), 교빙내왕(交聘來往)의 연혁, 사신관대예접(使臣館待禮接)의 절목(節目)을 기록한 책.

신숙주, 정척

1474 성종

국조오례의

5가지 국가 의례 정리: 군례(군사), 빈례(사신접대), 길례(제사), 가례(관례, 혼례), 흉례(장례)

중종 1506-1544

1517 주자(송나라)

 

동몽수지

어린이 실천 윤리 교육 교재

1518 김안국, 조신

이륜행실도

장유(형제, 연장자와 연소자), 붕우(친구) 사이에 지켜야 할 윤리

선조 1567-1608

임진왜란(선조)이후 것만 현존

조선왕조의궤

세계기록유산, 이두차자와 각종 제도어 사용, 국가나 왕실의 주요 행사 과정·비용·동원인원 기록, 조선초기부터 제작 but 임란 이전 것은 없음, 선조때 정비한 의인왕후산릉도감의궤가 현존 最古, 화성성역의궤O, 1866병인양요때 프랑스가 외규장각의궤 약탈하여 2011 5년마다 갱신하는 영구임대방식으로 반환.

1577(선조10) 율곡 이이

격몽요결

청년들에게 道學의 입문을 지시하기 위해 펴낸 교과서, 어린 자제들의 독서와 학문·생활·일상 윤리 자세히 분류하고 의견 서술. 학자는 반드시 성심으로 도를 향하고, 세속의 잡다한 일로써 자기의 뜻을 어지럽히지 않은 뒤에야...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데는 九容(구용, 걸음걸이는 무겁게, 손가짐 공손히, 눈모양은 단정히, 입은 가만히 다물고, 말소리는 조용히, 머리 모양은 항상 똑바로, 숨쉬기를 정숙하게, 설 때는 덕스럽게, 얼굴 모습은 장엄히)보다 더 절실한 것이 없으며 학문을 진취시키고 지혜를 더하는 데는 九思보다 더 절실한 것이 없다.”

cf. 이이는 왜란 전에 10만양병설 주장.

광해군

1608-1623

1617 유근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임란때의 효자·충신·열녀들을 적극적으로 포상하고 이들의 행적을 담아 민심을 격려하고자 편찬

숙종 1674-1720,17c

1685 김장생

가례집람

주자의 [가례]를 증보, 해석한 책.

[가례]의 내용이 현실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있고, 그 예절의 내력과 후대의 해석에 일관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저술함.

헌종1834-1849

1844 이재

사례편람

관혼상제의 4

16. 법전(유교적 통치 규범의 성문화)

cf.“”:만세에 전할 영구적인 법령 // “()”:당시 상황에 맞추어 내리는 일시적 법령.

조선경국전

정도전, 1394 태조

조선 건국의 기본 강령 규범 체계서, 민본적 통치규범 마련을 위한 사찬 법전, “교서는 문신의 힘을 빌려 높은 수준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경제문감

정도전, 권근.

1395 태조

정치 조직 초안

경제육전

=경제원육전=원육전

조준, 하륜, 1397 태조

조선 최초 성문 통일 공식 법전(조종성헌의 조선 최초 성문법전), 여말 선초의 각종 조례 정리

경제속육전=속육전

하륜, 1413 태종

경제육전의 수정, 증보

육전등록

집현전, 1426 세종

속육전을 간행한 이후의 수교, 조례 등 일시의 편법으로 시행되던 것을 모아 편찬한 법령집

경국대전

최항, 노사신,

세조1460 착수~

성종1485 간행

이전, 호전, 예전, 병전, 형전, 공전의 6전으로 구성된 조선 기본 법전으로 조선 후기까지 법률 체계의 근간이 됨, 영구 불변의 법률로 수정하지 않음, 변화되는 상황을 그때 그때 반영하여 시행할 수 있는 규칙적인 록()을 구분.

속대전

김재로, 1746 영조

경국대전 보완

대전통편

김치인, 1785 정조

경국대전&속대전+a 통합, 18C까지의 법령을 모아 ··표식으로 체계화함.

cf.정조는 고통이 많은 왕임. 어머니 혜경궁 홍씨인 노론 집안에게 아버지 사도세자의 복수를 함. 어머니에게 효심이 깊었음에도 어머니가 순조에게 [한중록]을 써서 정조 나쁜놈이라 이름.

대전회통

조두순, 1865 고종때 흥선대원군 집권기

대전통편 보완, 교서관에서 출판.

육전조례

조두순, 1867 고종때 흥선대원군 집권기

대전회통 보완

17. 문학

고대

한시

황조가(유리왕)

을지문덕 5언시(여수장우중문시)

한문학(유학보급으로 발달)

강수-무열왕, 문무왕

외교문서 [청방인문서], [답설인귀서]

설총-신문왕

[화왕계]

김대문(진골)-성덕왕

[한산기],[화랑세기],[계림잡전],[고승전]: 신라문화 주체적 인식 역사가

최치원,

-당 귀국 후 헌강왕의 문한기구 참여하여 측근역할(문집 계원필경과 중산복궤집 바침), 진성여왕에게 시무10여조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은둔.

난랑비문, [제왕연대력], 4산비문(낭혜화상 백월보광탑 비문), 토황소격문, 해인사묘길상탑기,

[계원필경](현존 가장 오래된 문집), [사륙집], [석이장전], [부석존자전], [법상화상전](의상과 그 제자들에 관해/ 당나라 고승 법장의 전기임)

향가(화랑과 승려 주축)

삼국시대

서동요(백제무왕 어린시절이야기),

혜성가(진평왕 때),

풍요

통일신라

삼국유사에 14수 전함,

진성여왕 [삼대목]

cf. 고려초 잠깐

고려 광종때 균여의 [보현십원가11]

설화문학

에밀레종

설씨녀

효녀지은

고려

전기

한문학

과거제와 함께 발달

문신월과법

각촉부시

중국 모방 벗어나 독자적 모습

박인량

cf. [수이전]을 박인량이 씀.

정지상

문벌귀족기 당의 시와 송의 산문 숭상

 

무신집권기

낭만적 현실도피적 수필

패관 문학

현실도피적 성향

이인로 [파한집]

: 역사적 유적지의 풍경과 풍속 묘사, 우리나라 시화집의 효시, 시화 이외에도 신라의 옛 풍속 및 서경과 개경의 풍물·궁궐·사찰 등이 재치있게 소개되어 있음.

최자 [보한집] : [파한집]을 보충한 것임.

이규보 [백운소설]

cf. [백운소설]에는 이규보의 생존시기보다 후대의 문헌과 시문이 등장하여 이규보가 지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도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가전체 문학(사물을 의인화)

사회 풍자

임춘 [국순전](술을 의인화)

임춘 [공방전](돈을 의인화)

이규보 [국선생전](술을 의인화)

후기

신진사대부

패관문학

이제현 [익재난고]

이제현 [역옹패설] :부당한 사대주의에 저항하는 내용.

가전체 문학

이곡 [죽부인전] (대나무를 의인화)

경기체가(향가 형식 계승한 새로운 시가 형식)

유교정신

자연의 아름다움

사대부들의 희망에 넘친 생활상 표현

[한림별곡]:최초의 경기체가, 고려 고종 23년경(1215~1216) 한림(翰林)의 여러 선비들 공동창작.

고려말 문인 안축 [관동별곡]: 벼슬을 하던 문인들이 함께 모여 놀면서 한 대목씩 부르던 고려 시대의 돌림 노래, 강원도에서 존무사라는 벼슬을 지내고 돌아가는 길에 관동 지방의 경치와 유적, 특산물 등에 감흥하여 지음.

cf. 조선 선조 때의 문인인 송강 정철(松江 鄭澈, 1536~1593)158045세 되던 해 강원도 관찰사로 근무하던 중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을 두루 거쳐 관동팔경을 유람하며 남긴 기행시가 관동별곡도 있음.

[죽계별곡]

설화문학

형식에 구애받지 X.

한시

이제현

이곡- 당시 사회의 부패상 읊음

정몽주

민중

속요

=고려가요

=장가

서민의 생활을 대담하고 자유분방한 형식으로 표현

청산별곡(악장가사)

가시리

쌍화점

조선

15c

한문학

서거정 [동문선]

1478 성종때 서거정이 삼국시대부터 조선초까지 시와 산문 중 빼어난 것 133편 골라 편찬, 130(부록3), 자주적, 독자성.

시조

진취적 기상

김종서, 남이

유교적 충절

남이, 길재

악장

정인지 [용비어천가]

세종 [월인 천강지곡]

설화문학(일정 격식X, 후에 소설로 발전)

서민의 감정과 생활 묘사

서거정 [필원잡기]

1487 성종때, 고대로부터 떠도는 이야기를 모아 간행한 한문 수필집

김시습 [금오신화]

최초의 한문 (단편) 소설집, 평양·개성·경주 등 옛 도읍지를 배경 남녀간 사랑과 불의 비판 등 민중감정과 역사의식.

성현 [용재총화]

간행은 16c 중종 , 잡기류 수필집

이륙 [청파극담]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의 폐단 지적, [야담집], [잡록집]

16c

시조

개인적 감정과 심성 표현

황진이

남녀간 애정과 이별의 정한 표현

윤선도

[오우가], [어부사시사], 17c 전반 병자호랑 전후

가사

풍부한 우리말 어휘 구사

송순

[면앙정가]

송강 정철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박인로

[누항사], [태평사]

설화문학

사림의 테두리를 벗어난 문인들도 있었다.

어숙권 [패관잡기]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의 폐단 지적

임제

풍자적이고 우의적인 시와 산문으로 당시 사회의 모순과 유학자들의 존화의식 비판

임제

[원생몽유록]

선조때 한문소설, 사육신 높이고 세조 비판.

[수성지]

천군(天君)을 주인공으로 하여 왕도 정치의 허무함 표현

[서옥설]

탐욕스러운 관리를 늙은 쥐에 풍자

cf. 17c 유몽인[어우야담]

여류작가

신사임당

, 글씨, 그림

허난설헌

한시

17c~19c

조선후기

 

한문학

정약용

삼정의 문란 폭로하는 한시 [애절양]

박지원

[양반전], [허생전], [호질], [민옹전]등 한문소설

한글소설

cf.18C 세책점(소설대여가게) 생김.

허균 [홍길동전] (광해군때) : 최초의 한글 소설

[춘향전]

[별주부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사설시조

서민 감정 솔직 표현

격식 구애X.

위항문학

중인, 서민층이 조직

천수경이 조직한 옥계시사

최경홍이 조직한 직계시사

풍자시인 : 김삿갓(김병연), 정수동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